pISSN: 1226-8380

전문경영인연구, Vol.24 (2021)
pp.89~110

DOI : 10.37674/CEOMS.24.2.5

감정노동, 직무만족, 심리적 웰빙 간 여가만족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신용선

(베터비즈경영컨설팅연구원 대표. 경영학 박사)

본 연구는 감정노동이란 개인적 감정이 기업 종사원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그 결과가 다시 종업원 개인의 심리적 행복정서인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 함을 목적으로 한다. 온라인(구글) 설문으로 응답지를 회수하였고 총 285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및 AMOS 22.0으로 분석하였다. 각 변수 간 영향관 계 및 조절효과 검증에는 SPSS 25.0을 사용하였다. 주 효과 검증결과, 감정노동의 하위차 원인 표면행동(surface acting)은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보이지 않아 연구가설(H1) 이 기각되었고, 내면행동(deep acting)은 유의미한 영향을 나타내 연구가설(H2)이 지지 되었다. 그리고, 직무만족이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검증에서는 유의미한 영향을 나타내 연구가설(H3)은 지지되었다. 조절효과 검증에서, 표면행동과 직무만족 간에서 여가만족 이 조절할 것이라는 가설(H4)은 정(+)의 방향으로 조절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H4) 은 지지되었다(β=.300, t=5.378, p<.001) 또한, 내면행동과 직무만족 간에서 여가만족이 조절할 것이라는 가설(H5)은 유의미한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아 가설(H5)은 기각되었으 며(β=. 060, t=1.159, p=.247), 직무만족과 심리적 웰빙 간에서 여가만족이 조절할 것이 라는 가설(H6)은 유의미한 조절효과가 나타나 가설(H6)은 지지되었다(β=.160, t=2.100, p<.001).

A Study on Moderating Effects of Leisure Satisfaction on Emotional Labor, Job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Yong-Sun Shin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mpact of Emotional Labor on the Job Satisfaction of employees in a company, and to verify the result of the influence on Psychological Well-Being. The online (Goggle) survey retrieved the answer sheets and used a total of 285 copies for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s SPSS 25.0 and AMOS 22.0 for verifying the influence relationship and regression analysis between each variable. As a result of the main effect verification, the subdimensional Surface Acting of Emotional Labor showed no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us rejecting the research hypothesis (H1), and the Deep Acting was supported by the research hypothesis (H2). Furthermore, hypothesis H3 was supported, showing a significant effect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the test of the moderation effect of Leisure Satisfaction(LS), the hypothesis (H4) that Leisure Satisfaction would moderate between Surface Acting and Job Satisfaction was supported(β=.300, t=5.378, p<.001). The hypothesis (H5) that Leisure Satisfaction would moderate between Deep Acting(DA) and Job Satisfaction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and it was rejected (β=. 060, t=1.159, p=.247). Lastly, the hypothesis that Leisure Satisfaction would moderate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H6) was supported by significant effects (β=.160, t=2.100, p<.001).

Download PDF list




 
개인정보처리방침
[06784] 서울특별시 서초구 동산로16길 10 서석빌딩 2층   
사무국: TEL 02-529-5102     ceoa2010@daum.net
편집국(논문투고관련): TEL 010-8973-9873     ceoajournal@naver.com
Copyright 2015 The Korea CEO Association, All Right reserved.
관련사이트
국세